맞습니다. 나르시스트는 끔찍한 성격 탓에 조력자가 없을 것 같지만,
사실 겉보기엔 깔끔한 완벽주의자로 불려 따라다니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들은 나르시스트들의 외적인 부분에 이끌려,
나르시스트를 옹호하게 되는데요,
그들은 나르시스트의 망상을 같이 떠들어주며
나르시스트 자신이 망상을 실제처럼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나르시스트는 인정을 바라기 때문에 이 인정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나르시스트는 사람을 도구로 여기기 때문에,
조력자를 고를때도 항상 선택을 합니다.
예를 들어 공격적인 사람을 조력자로 만들면 자신에게 해가 되는 자들을 쫒을 수 있고,
매력적인 사람은 자신의 '트로피'로서 자신을 더욱 더 빛나게 만들 수 있고,
똑똑한 사람이나 인맥이 넓은 사람 또한 그렇습니다.
그들은 나르시스트가 잘못을 했건 하지 않았건, 무조건 나르시스트를 옹호하고 변호합니다.
잘못을 부인하거나, 축소하거나, 책임을 다른 이들에게 전가하거나, 변명을 자처합니다.
콩깍지가 끼였다고 하죠, 그래서 이런 조력자는 보통 연인 상태나 아주 친밀한 동성 친구들에게서 많이 보입니다. 무슨 행동을 하던 자신의 이상형에 부합하는(나르의 포장된 완벽주의)를
좋아하고 숭배하며 지키는 것이죠,
그들은 나르시스트가 직접 행동하지 않아도 나르시스트에게 잘 보이고 싶어
자신의 감정이나 시간, 돈을 희생하면서까지 나르시스트를 숭배합니다.
나르시스트들은 보통 완벽한 모습 연기로 조력자들을 유혹하지만,
조력자들이 빠지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떄로 나타나는 나르시스트의 낮은 자존감이나 애착, 의존 성향으로,
'완벽하지만 내가 도와줘야 할 것 같은 사람' 이 되어 동정심을 유발시키는 면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력자는 책임감을 가지고 아이같은 나르시스트의 감정기복, 이기주의적 행동들을 감내하고
품어주려고 합니다. 하지만 나르시스트는 관계가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이 관계를 시험에 들게 하면서 두려움으로 자신의 조력자들을 통제합니다.
이런 방향까지 갔으면 조력자는 더 이상 나르시스트의 조력자를 하지 않으려면
다시 자신이 나르시스트를 위해 버렸던 모든 인간관계들을
다시 맺어야 하는데, 이는 조력자에게 공포 그 자체입니다.
애초에 자존감이 낮고 순수한 조력자는 나르시스트의 내면을 뒤늦게 파악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이런 짝사랑은 금방 파멸에 이르게 됩니다.
그들에게 비밀을 말하거나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경계(선)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나르시스트의 조력자들을 해방시키고 싶어도
그들은 이미 나르시스트를 숭배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섣부르게 건드린다면
오히려 정치질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르시스트는 겉으로 보이는 것에 집착하기 때문에
정치질 또한 전문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건 그들과 대화하는것도 거부하는 것이 좋지만,
자신의 편을 만들지 않고 조력자들을 잘못 대하면 오히려
자신이 사회적으로 신뢰가 떨어지는 사람으로
고독하게 지낼 수 있음을 주의하세요,
마음을 쉽게 열지 않고, 사람의 내면을 파악해야 합니다.
칭찬, 시간, 관심을 주면 안됩니다. 그들과 경쟁하거나 일대일로 만나는 건 좋지 않습니다.
그들에게 반응을 해주지 않아야 나르시스트는 지루함을 느낍니다.
나르시스트에게 호의를 베푸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만약 호의를 베푼다면
나르시스트가 개입할 여지를 주게 됩니다.
트라우마 유대감은 학대자에게 오히려 피해자가 유대감을 갖게 되는 현상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과 유사하다고 볼 수야 있겠지만, 스톡홀름 증후군은 피해자가 인질이나 감금이 되어야 하는 반면,
트라우마 유대감은 학대자와 학대 피해자의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유대감은 금방 잊는 감성적인 사람이 주로 형성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나르시스트는 조력자가 스스로 떨어져 나갈 것 같으면 그때
애정공세를 시작하고, 스스로 사과를 합니다.
그런 모습에 반해 학대 피해자는 다시 나르시스트를 신뢰합니다.
그리고 쳇바퀴처럼 상황은 계속 반복됩니다.
학대 피해자는 그때부터 이유없이 나르시스트가 나아질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며
체념을 하면서 희망을 잃기 시작합니다.
점차 시간이 지나면 자아가 사라지거나 정서적으로 나르시스트에게 중독까지 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니 벗어나지 않으면 자신을 학대하는 나르시스트에게 계속 착취당하며 물건처럼 지내게 되며
자신의 가치를 잊고 계속 학대당하며 살게 됩니다.
나르시스트 탈출은 지능순입니다.
스스로 옳은 선택을 하길 빌겠습니다
나르시스트 아버지에 대한 분석 (0) | 2024.06.03 |
---|---|
나르시스트 어머니에 대한 분석 (0) | 2024.05.30 |
나르시스트 서플라이(나르시스트가 원하는 것)에 대해 분석해보자 (0) | 2024.05.30 |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나르시스트 (0) | 2024.05.23 |
주의, 나르시스트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