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기분이 확확 바뀔때가 있지 않나요? 좋았다가 갑자기 기분이 확 나빠지고,
또 갑자기 좋아지고, 이런 감정의 변화로 일상을 유지하지 못한 적이 있나요?
그러면 이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알아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이 증세는 수면과 운동으로 신체의 밸런스를 조절하면 보통은 낫지만,
심한 스트레스나 감당하지 못할 경우, 급히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은 병입니다.
그러면, 한번 이 양극성 정동장애를 알아보도록 할까요?
우리는 흔히 조울증이라고 알고 있는 이 양극성 정동장애라는 병은 기분 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
에너지, 기분, 활동 수준, 집중력 등에 비정상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입니다.
증상이 참 다양해 여러 유형으로 나뉘는 병인데요,
갑자기 흥분하고, 짜증을 내고, 활력이 넘치는 고양된 상태를 조증이라고 말하고,
슬프고, 무관심하거나 희망이 없는 듯 행동하는 상태를 우울증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정말 조증과 우울증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병이고, 기분 장애 중 제일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서의 논문 중 하나에 따르면 자살률이 굉장히 높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자살률도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한번 이 장애의 발병원인부터 알아보도록 할까요?
양극성장애는 70% 정도에서 우울증으로 시작되어, 대부분이
우울증과 조증 삽화 (Episode, 오래 지속된 증세로 증세가 없는 시기와 확연히 구분됨)을 경험합니다.
10~20%는 조증삽화만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 삽화는 평균 5~10주 지속되며, 우울은 19주, 혼재성 삽화는 36주 정도 지속되는 편이지만
개인차가 클 수 있다는 겁니다.
정말 일상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삽화들은 오랜 시간 걸쳐서 천천히 일어나기에
자신이 병에 걸린 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겠군요,
삶의 무게가 안 그래도 무거운데 기분까지 꿀꿀하다면 정말 슬프겠네요,
이제 유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 1형 장애는 심각한 조증과 우울증도 발생하는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꽤 오래 지속된다고 합니다.
1년 이내에 조증이나 우울증을 4회 이상 경험하는 것을 "빠른 순환"이라고 합니다.
이때의 환자는, 불안정하고 현실 감각과 집중력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설명드린 그대로입니다. I장애와 비슷하나 증상이 약간 약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를 약한 조증 삽화라고 하여 경조증이라고 합니다. I형보다 우울삽화 기간이 약간 더 길다고 합니다.
이 순환 기분증은 강하지 않은 경조증 및 우울 증상이 2년, 혹은 그 이상에 걸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조울증은 조울증이지만 증상이 더욱 약하다는 특징과 증상이 아주 길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울증, (조울증으로 아는 것이 더 편하니 조울증이라고 하겠습니다.)은 이렇게 3 유형이 있다고 알아보았는데요,
혹시 이런 증세가 있어 겁나시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은,
보통 수면 시간이나, 운동 시간만 지켜도 충분히 완화되고,
사라질 수 있는 증세이기 때문에 너무 겁먹지 않아도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방식으로도 통제가 되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서 점차적으로 약의 도움을 받아 줄여도 되니까요, 걱정은 안 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어려운 병입니다, 증상이 병자와 일반인을 가리기 힘든 병입니다.
인지부터가 내가 내 기분을 알기도 힘들기도 하고요,
굳이 힘든데 병원에서 약을 타는 것도 참 어려우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잘 생각해 보시고, 이런 조증이나 우울이 반복되었을 때,
기본 생활 습관을 바꾸어도 안된다, 싶으시면 병원에 가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저 또한 이러한 증세를 많이 겪곤 하는데요, 이럴 때마다 운동과 수면, 명상, 스트레칭 등을 통해
몸을 조율해나가고 있습니다. 사실 운동만 해도 수면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기 때문에 참 좋습니다.
만약 귀찮다고 약에만 의존하면, 언젠가는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그럼 이만 여담까지 마치겠습니다.
이 글까지 봐주신 분들에게는 두 배 더 감사합니다.
넌 대체 누구냐, 당뇨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3.09.30 |
---|---|
탐닉, 의존증, 중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10 |
러닝 후 정강이 뒤쪽이 아프다면? 신스프린트에 대해 알아보자 (12) | 2023.08.29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를 알아보자. (0) | 2023.08.27 |
일론 머스크가 겪고있는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