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술, 맥주에 대해 알아보자
최초의 술
맥주는 가장 오래된 알코올음료 중 하나입니다.
과거의 와인의 발명처럼 포도를 우연히 으깨 발효가 된 것과 다르게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 먹은 술 중 가장 오래된 술이 맥주입니다.
BC(기원전) 13000년 된 맥주 잔유물도 발견되고,
신석기 시대때 괴베클리 테페, 최초의 뇌수술 흔적을 발견했다는 그곳
에서 맥주가 생산되었다는 증거가 있기도 했다고 합니다.
보리로 재배된 맥주는 기원전 3500~3100년 경의 현장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게 다소 기원을 찾기 어지러운데, 곡물은 기원전 10000년 전에 재배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입증되지 않았고 최초를 찾는 것은 힘들다고 합니다.
고용주에게 고용된 노동자들은 맥주로 급여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라크의 노동자들과 피라미드를 만들며 맥주를 배급받은 이집트 노동자들도 있다고 합니다.
당시 이집트 노동자들은 피라미드 건설을 하고 하루에 맥주 4~5리터를 지급받았다고 하네요,
수메르 저술에도 맥주에 대한 언급이 있다고 합니다.
맥주의 어원은?
고대 영어의 bēor에서 유래된 맥주는
게르만조어에서 왔다는 것과, 라틴어에서 왔다는 등 많은 설이 있지만
독일어 계통에서 먼저 맥주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노르웨이-네덜란드-독일 쪽의 북유럽부에서 말입니다.
맥주는 보리로 만든 거 아니야?
보통 맥주는 보리로 만들지만, 밀맥주도 있습니다.
맥주의 공정 과정은 꽤나 복잡해진 편입니다.
맥주의 공정 과정
처음에는 곡물을 발효시켜 낸 그 자체를 마시며
죽과 같은 형태로 식사처럼 먹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점점 발전되어 불순물을 걸러 발효시켜 음료로도 발전되었습니다.
현대 맥주의 공정을 요약하자면,
보리를 뜨거운 물과 섞어 맥즙을 준비하고,
맥즙에 홉을 넣어 혼합합니다.
그다음 전분이 당분으로 전환되고,
끓인다고 합니다. 오래 끓일수록 쓴맛은 강해집니다.
그리고 이 즙에서 건더기들과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그 뒤 첨가제를 넣고 발효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1차 발효와 필요에 따라 2차 발효까지 거치면
우리가 마시는 맥주가 탄생한다고 합니다.
에일과 라거의 차이는 뭘까?
에일은 발효가 높은 온도에서 이뤄집니다.
반대로 라거는 발효가 낮은 온도에서 이뤄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에일은 빨리 완성되고
라거는 느리게 완성된다고 합니다.
에일은 알코올 도수가 높고 강하고 진한 맛인 대신
반대로 라거는 알코올 도수가 낮고 깔끔한 맛이라고 합니다.
가벼움과 무거움의 아름다움
맥주의 알코올 함량은 3% 미만의 라거부터 14%의 에일까지 다양하다고 합니다.
샴페인 효모로 다시 피칭하여 20%까지 증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동결 증류 방식을 통해 55%까지 증가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Schorschbräu의 2011 Schorschbock 57은 57.5%의 알코올 도수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맥주의 쓴맛을 담당하는 홉
맥주의 향료로 사용되는 홉은
보리에서 온 것이 아니며
대마초과에 속하는 식물인 홉을 넣어
향과 맥주의 방부제, 쓴맛을 첨가한다고 합니다.
천국의 곡물이라고 불리는
Aframomum melegueta
아프라모움 멜레구에타 나
민트류인 에일후프 같은
녀석들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쑥이나 베리, 허브 등을 조합하여 향을 첨가한다고 합니다.
거품 있게 따르지 말라의 진실
맥주는 거품 있어 따르는 방법이 맞다고 합니다.
천천히 따르면 탄산이 남아있어 뱃속이 불편하게 된다는 건데요,
이는 정답이 없는데요,
저가형 맥주는 탄산이 빠지면 맛이 없어 탄산을 없애면 맛이 없다는 문제가 있고,
맥주가 탄산이 많으면 속이 더부룩하나 위장장애가 일어날 수 있어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스스로 맥주의 탄산을 조절해 마시도록 합시다.
잡설, 맥주 음료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에서는 홉의 향을 내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아로마 홉만 사용한 필라이트라는 저가 맥주맛 음료가 있습니다.
이는 맥주가 아닌 맥주 발포주라고 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는 이유는 저가형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맥주 대신 기타 주류로 분류되어 72%인 주세가 30%만 적용받아
전략상의 이점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필라이트를 기피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맛이 거의 유사하다는 점과 가격을 비교하면 꿀리지 않는데요,
주관적으로는 아주 똑똑한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