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이 열리는 작물, 벼에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오늘은 쌀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쌀은 아주 매력적인 곡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알아보자고요
자, 이 녀석이 쌀입니다. 윤기 나는 녀석이죠, 껍질을 벗긴 쌀입니다. 저 대로 씹어먹어도
은은한 단맛과 녹말기가 묻어나옵니다. 아주 매력적인 자태죠, 껍질이 벗겨진 쌀은요,
아주 아름답습니다. 튀기면 간식이 되고, 물에 불려서 끓이면 밥이 된답니다.
찹쌀이면 떡을 만들 수도 있고요, 한번 이 녀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야생 벼는 붉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맞습니다. 별하 작물에서 쌀알들이 열리죠,
하지만 야생 벼는 원래 붉은색이라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우리가 먹는 쌀들은 전부 선택 재배되고, 마치 과일들처럼 돌연변이를 저희가 먹기 편하게 만들어진 것이죠,
야생 벼의 붉은색을 찾지는 못했으나 이런 식이었을 거라고 전 추측합니다.
저 사진은 충청남도농업기술원의 관상용 벼입니다. 이건 약간 분홍색이지만 그래도 들고 와봤어요,
느낌이 색다르지 않습니까?
마치 억새 같아 바람이 세게 불면 풍경이 아름다워질 것 같은데요,
야생 벼는 이랬다고 합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의 97.9%가 붉은 쌀의 돌연변이라고 합니다.
야생성이 강한 녀석이라 야생에 내버려 두면 빨간색으로 돌아간다고도 합니다.
아랍에리미트에서 한국이 사막에서 벼농사를 했다고?
2020년에 사상 최초로 한국 농촌진흥청에서 사막에서 벼농사를 하고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물값이 더 들었다고 하네요, 쌀 가격은 ha(헥타르) 당 583만 원인데,
들어간 물 값이 2천만 원이라고 합니다. 그래도 참 신기하네요,
벼에 대한 이야기들
벼의 역사와 시작
쌀은 1만 년 전에서 천년 전, 알아보기도 힘든 시기에 농업이 시작되며 이루어졌습니다.
우리가 먹는 쌀, 그러니까 미끌미끌한 인디카 쌀이 아닌 자포니카 쌀은 중국에서 8천 년 전에 재배 흔적이 발견되었기도 하고요, 인디카 종은 5천 년 전 분화하여 인도와 동남아 일대로 전파되었다고 합니다.
2003년, 청주시 소로리에서 발견된 볍씨가 1만 5천 년 전의 것으로 밝혀지며
벼농사의 기원이 한국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읽는 고고학 개론서인 'ARCHAEOLOGY'에도 쌀의 기원이 우리나라로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유전적인 부분에 있어서 현재 벼와의 유사성은 39.6%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농업 자체가 이라크 쪽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진 만큼,
중국에서 먼저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그래도 뭔가 기분이 약간은 좋네요,
쌀 재배 도표
벼는 의외로 열대성 작물이라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동남아가 주산지라고 합니다.
동남아, 특히 적도에 가까운 지역은 1년 내내 덥고 습하므로
1년에 2번 수확, 혹은 3번까지도 수확할 수 있다고 합니다.
벼가 열대성 작물이라는 건 몰랐군요, 흥미롭네요
벼 재배의 장점과 단점
장점
이 벼는 기후 조건이 맞는 지역에서는 수확량이 아주 많은 곡류라고 합니다.
그리고 영양 면에서도 단백질은 적어도 필수 아미노산이 높다고 합니다.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기에 음식물로 섭취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쌀 말고도 다른 고기, 달걀, 등에도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서양의 주식인 빵을 만들 밀은 빵 만들 설비가 필요하지만,
쌀은 조리가 간편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단점
물을 엄청나게 먹습니다. 쌀 1kg를 생산하기 위해 물이 2~3톤이 필요하지만
밀은 같은 양을 생산하는데 1톤 정도의 물만 있어도 되어 물 소비가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니, 조금이라도 가뭄이 들면 한 해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점이 파생됩니다.
또, 논에서 재배 시 논에 물을 채워 놓아야 하니, 해충이나 질병이 발생하기 쉽다고 합니다.
그럼,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담
벼와 쌀알에 대해서 다뤄보고도 싶었으나,
그 정보는 궁금해하는 이가 없다고 판단하여 줄였습니다.
쌀 눈이 영양가가 좋고 껍질도 영양가가 있다. 이 정도만 알아도 됩니다.
하여튼, 이 벼가 열대작물이라는 점과
필수 아미노산이 많다는 점은 인상적이네요,
빵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필수 아미노산 섭취에 주의해야겠어요,
그리고 또, 우리나라가 베이비 붐이 일어난 1950년 경쯤 나온 통일벼에 대해서는
따로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