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로 심리상담을 할 수 있는 곳을 찾아보자
일단, 청소년은 1388이 있다.
일단 1388이 있습니다. 댓글, 게시판, 채팅, 주변 청소년 시설 찾기 / 간단한 심리검사 등이 있습니다.
실제 대면 상담은 주변 청소년 시설을 찾는다면 할 수 있고, 간단하고 가볍게 심리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상담을 받아주시는 분들은 전문가긴 합니다만, 굉장히 많은 청소년들로 인해
상담의 질이 어쩔 수 없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상담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있구요, 청소년 시설을 찾아
상담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청소년이라고 해서 정말 청소년인게 아니구요,
만24세 이하가 청소년의 기준이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청소년1388
내 편이 필요한 순간 청소년1388,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은 청소년1388을 통해 상담, 보호, 자립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www.1388.go.kr
자살예방 109 / 129 전화상담 - 텍스트 상담
일반 성인들도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번호가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에서 운영하는 24시간 전화 상담 시스템인데요,
혼잡하지만 그래도 상담사들이 열심히 답변해줄 수 있는 번호입니다.
대기가 꽤 길 수도 있고, 이 또한 어쩔 수 없이 상담의 질이 떨어지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상담을 받을 수 없지만 그래도 무료라는 점에서 주목해볼 만 합니다.
모든상담원이 계속 통화중이라고 말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래 링크에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상담센터에서 운영하는 채팅상담과 자살이 아닌 129 전화상담의 링크 또한
올려둘 테니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129 전화상담 / 텍스트 상담은
평일 평일 09:00 ~ 18:00 이지만,
학대 - 정신건강 상담 - 긴급복지지원 - 복지사각지대 는
24시간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건복지상담센터
국번없이 129, 긴급복지, 복지지원, 자살, 알콜중독 등 복지 상담 서비스 제공
www.129.go.kr
(자신의 지역) +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치고, 도움을 받아보자.
지역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정신건강센터를 치면 그 사이트가 나옵니다.
저는 이렇게 경기도 정신건강복지센터로 들어가 봤는데요.
이렇게, 청(소)년 정신건강 치료비 연당 36만원 지원같은 정보들도 알 수 있고,
여러 도움을 줄 수 있는 앱이나 정보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지역)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건강가정지원센터 또한
비슷한 맥락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하지만 이 또한 무료라 다른 무료 심리 상담들과 단점을 공유하는데요,
그래도 안 받는 것보단 훨씬 나으니 한번 유료 상담을 하기 전에
해볼 만 합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인데요, 무료 상담으로 해결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지역마다 이런 센터들이 있으니, 한번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런 센터들은 보통 사람들이 찾아도 찾아지지 않기 때문에 한번 이 기회로 보는 것도 좋겠지요.
예시로 링크들을 조금 첨부하겠습니다.
서울
소개 | 블루터치소개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블루터치
블루터치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서로의 가치를 존중하여 더불어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2005년 국내 최초의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로
blutouch.net
경기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경기도정신건강위기대응센터Tel)031-212-0435경기도자살예방센터Tel)031-212-0437
m.mentalhealth.or.kr
부산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불면증,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공황장애, 자살자해, ADHD 상담, 정신과, 분노, 거식증, 멘탈 프렌드, 동백이, 동백e
www.busaninmaum.com:443
무료 상담 주의점
상담사분들은 경력이 있으신 분들이지만 당신의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하다보니,
기대를 하지 않고 조용히 예의있게 상담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무료라는 특성상 많은 악성 상담자들에게 당해서 오히려 상담사가 상담을 받아야 하는
일이 빈번하니, 예의를 갖추고 상담하시기를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지 못했더라도, 무료로 상담해주시는 상담사분들께
감사의 말을 전해보는 걸 추천합니다. 상담사분들도 인간이기 때문에,
비꼬는 말투나 폭언은 자제하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