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보자 시리즈/그 외

멀티버스, 그러니까 다중우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EYES-1 2023. 8. 30. 18:06

반갑습니다. 오늘은 다중우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중우주가 뭐야?

다중우주가 뭘까요?


다중우주는 우리 우주 A 외에도 다른 우주 B, C, D, …가 존재한다는 이론들입니다

. 다중우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재미있지 않나요? 다중 우주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이요,

 

똑같은 물건이라도 만든 이유가 다를 수도 있고,

똑같은 이론이라도  영감을 받은 이유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대에는 더더욱, 발견하고, 만들 것이 풍부했기에 다른 이유지만 만들어진 것은 동일한

여러 가지가 있었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우주가 만일 다중우주라면, 이 다중우주가 어떻게 만들어짔는지 추측해봐야겠죠,

자, 그럼, 시작합니다.

 


평행세계와 같다고? 아니지, 다중 우주라니까?

이 이론은 평행세계와는 다릅니다. 평행세계는 다른, 별도의 시공간에 위치한 세계를 말하는 것이고

다중우주론은 그냥 지구 비슷한 행성이 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그냥, 평행우주는 말 그대로 병렬 세계,

똑같은 세계관이지만 일어나는 일들이 다름이고,

 

다중우주는 우리가 알고있는 우주 말고 다른 우주들이 많다는 이론입니다.

자, 그럼 여러 가지 설들을 한번 살펴보죠,


인플레이션 다중우주?

 

이 이론은 '영원한 인플레이션(eternal inflation)' 이론에서 유도되었다고 합니다.

영원히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도중에, 어떤 곳에서만 인플레이션이 종료되고,

빅뱅이 일어나는 과정이 엄청나게 반복된다는 이론입니다.

 

계속, 어디선가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계속 빅뱅이 일어나고, 계속 만들어진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런 우주들은 중력으로 영향을 줄 수 있고, 팽창하다가 만나면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러한 흔적을 찾으려는

시도는 2010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돌아가신 스티븐 호킹, 위대한 이론물리학자의 마지막 연구 주제기도 했습니다.


양자 다중우주?

현실 세계는 수학적으로 계속해서 수많은 평행 우주로 분기되고 있다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단 하나의 지점만이 실현되는 이유는, 단순히 그 지점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회의적인 의견을 보이지만 다중우주는 역설적인,

그러니까 설명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아주 매력적인 다중우주론이죠, 엄청난 분기가 있지만,

단 하나, 그러니까 우리의 존재가 단 하나의 지점만을 실현한다니,

낭만적인 소재가 따로 없습니다.

 


경관 다중우주?

초끈이론, 세상의 모든 것은 0차원이 아닌 1차원의 끈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물리학 이론입니다.

칼라비-야우 다양체가 기본 입자의 수나 여러가지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결정한다고 말했습니다.

상당히 복잡해서 넘어가겠습니다.

 


시뮬레이션 다중우주

우리는 어느 문명의 시뮬레이션이다. 라는 이론입니다.

논란의 여지가 많기는 하지만, 일론 머스크가 지지하고 있는 이론이기도 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약간 구미가 당기는데,

날씨나 엄청난 번개나 엄청난 산불, 엄청난 가뭄, 엄청난 병에도 지금까지 인간이 살아남았던 것을 보면,

자연이라는 자연적인 개념을 만들고, 그로 인해 사람들이 의심하지 않는 상황에서 계속,

밸런스 조절을 한건 아닐지,

약간의 의심이 가기는 합니다.

 

통 속의 뇌, 데카르트의 악마 등, 프랙탈 우주론과 유사하다고 합니다.

 


주기적 다중우주

다중우주가 공간이 아니라, 시간상으로 나열되어 반복되는 우주이론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스가 주장했다고 합니다.

 

이 이론에서 우리 우주나 다른 우주는 더 상위 차원의 막 같은 것이고,

이 막들이 주기적으로 충돌했다 멀어지는 순환적인 움직임을 보인다고 하는것이 이 이론입니다.

그리고, 두 막이 충돌할 때 벌어지는 현상이 바로 빅뱅이라는 것입니다.


4레벨 다중우주(수학적 우주 가설)

위에서 서술한 내용들은 미국의 물리학자 브라이언 그린의 멀티 유니버스에 서술된 다중우주 가설들입니다.

이 4단계 다중우주 가설은, 브라이언 그린이 아닌  MIT의 멕스 테그마크 교수가 제안한

다중우주의 4단계 분류중 마지막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우주의 궁극적 실체는 수학적 구조라고 하는 가설입니다.

우주를 설명하는 데에 수학이 너무나도 적절하다는 겁니다.

 

그럼 설명은 이만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복잡한 용어들이나 다른 것들은 줄이고 한번 생각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담

여러분들은 어떤 가설이 더 흥미롭다고 생각하나요?

저는 양자 다중우주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일 기술의 발전으로, 정신만 돌릴 수 있다면,

시행해볼 수 있는 모든 분기들을 시행해보고 싶네요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