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치매인가? 치매에 대해 알아보자.
그러니까, 치매가 무슨 뜻입니까?
어리석을 치(癡)에다
어리석을 매(呆)를 써서
어리석고, 어리석다는 뜻으로 치매라고 합니다.
영어 어휘인 디멘시아(Dementia) 역시
Down의 접두사인 de에다 Mental의 ment,
병명에 사용되는 접미사인 ia가 합쳐져
정신적 기능 저하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도깨비 이(魑) 를 치로 읽었으므로,
도깨비 때문에 어리석어졌다는 해석이 가능해
치 자가 이 한자라는 해석도 있다고 합니다.
원인이 너무 많다
뇌세포가 감소하거나 판단에 필요한 뇌의 연결이 깨지면서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이 증상은
보통은 노인성 치매로 발생하지만 전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뇌염이나 뇌종양, 두부 외상으로 인한 치매, 뇌전증 관련 치매 등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치매는 알코올성 치매라고 합니다.
우울 같은 스트레스로 인한 건망증 증상도
심화되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치매라고 불리기 전에 원인을 제거하면 호전되는 편이라
치매가 확정적으로 생겼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증상
치매는 손상되는 인지 기능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르다고 합니다.
증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발견되기 힘듭니다.
미국 알츠하이머협회의 치매 짐작 현상의 목록에 따르면,
-건망증이 심해짐 (최근의 일도 기억하지 못함)
-계획 세우기나 문제 해결의 어려움
-익숙하게 하던 일을 못하거나 갑자기 돌발행동을 함
-자신의 이름이나 나이, 생일과 같은 기본적인 사실을 까먹음
-읽기 쓰기, 보는 것과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청력 문제.
-단어 사용의 어려움, 판단력 장애.
-물건을 찾지 못하거나 엉뚱한 곳에 둠
-감정 기복이 심해지거나 우울, 망상, 분노가 갑작스럽게 나타남
-화장실에 가지 않고 용변을 참거나 용변 실수를 함,
치매를 예방하는 법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수면 시간부터 챙길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7시간 미만 잔 사람과 7시간 이상 잔 사람을 그룹으로 나누어
치매 발병률을 조사했는데, 덜 잔그룹이 30% 더 발병률이 높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머리도 많이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익숙해진 것들 대신 처음 하는 것들이나
매번 머리를 써야 하는 복잡한 게임이 더 좋다고 합니다.
약은 개발 되고 있나?
뇌에 직접 작용을 해야 되기 때문에,
치매 약에 대한 난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93년 최초로 FDA의 승인을 받은 타크린이라는 약은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해서 치매 진행을 둔화시키는 원리라고 합니다.
부작용이 많아 점점 진화해나가
일본의 도네페질, 노바티스의 리바스티그민,
얀센의 갈란타민이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해 부작용을 줄이고 나왔습니다.
새로운 치료제도 NMDA 수용체(신경 세포에서 발견되는 글루탐산 수용체)
의 활성을 막아 치매진행을 늦추기도 하지만 개선될 뿐 확실한 효과는 없습니다.
그래서 포기되나 했지만 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인
아말로이드 베타 축적이라는 큰 치매의 원인을 제거하는
아두카누맙이라는 성분으로
2023년 7월, 현재 임상 시험 후
적용되었지만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1년 약값이 3500만원이라고 하는데요,
걸리지 않는게 맞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