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그냥 검색해도 좋습니다. 미리 구글에 쓰여져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한 뒤,
직접 진료 가능 여부를 물어본뒤 가는 게 좋습니다. 구글 지도 특성상 없어진 곳을 찍어주는 경우도 있으니,
찾은 후, 전화나 또 한번의 검색을 통해 주변 병원의 후기를 찾는 게 좋습니다.
구글이 가장 편하지만, 다른 심리상담 앱에서도 주변 정신병원 위치는 많이 찾을 수 있으므로,
굳이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정신에 관련된 병원인만큼, 자신이 직접 찾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플레이스도 좋습니다.
진료실이나 분위기, 그리고 인테리어 등을 보는 게 좋습니다.
아마 3일에 한 번, 보통이면 그 정도 진료를 볼 테니까요,
거리를 잘 재서 가깝고 좋은 곳을 찾아봅시다.
아마 불안이 많을 겁니다. 정신과 진료를 받는다면 기록이 남아 자신에게 해가 되는 것을 걱정하는데요,
별 거 아닙니다. 누군가가 기록을 열람할 수 없으며, 취업에 불이익을 받는 것은
일부 극소 회사들만 적용됩니다.
대기업이나 중소기업등등, 아무 문제 안 된다고 합니다.
직접 증빙자료에서 뽑아야 자신의 기록을 볼 수 있기에,
면접이나 채용에서 건강진단서를 뽑지 않고, 회사에서 뽑아오라는
다른 옵션 - 채용신체검사서나 건강보험요양급여내역같은 것들을
뽑는다면 그 극소 회사들 또한 진료 기록을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또한, 자신이 정신과에 가야 하는가? 라는 의문을 가지신 분들도 많을 텐데요.
정신적으로 계속해서 고통을 받아 일상에 문제가 생긴다면 가는 게 장기적으로 좋습니다.
생활 습관을 조율하거나 긍정적으로 사는 것도 좋지만, 약의 도움을 받아
그 습관을 형성하는 것 또한 좋습니다. 애초에 고통스러운데 습관을 조율하는 건 더 힘이 드니까요.
빠른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긍정적으로 고려해봅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우울증 치료를 받은 환자는 899만 명이었고,
지난해에만 172만 명으로 코로나 발병 이전인 2019년에 비해 14% 이상 증가했다고 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진료를 받고, 보험으로 진료비 부담을 덜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험은 조금 더 돈이 들어가는 유병자 보험으로 할 경우에,
보험의 진료 지원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2016년 이전의 보험은 진료비 실비청구가 불가능하므로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실비 청구의 경우, 비급여 부분은 보상하지 않고,
급여 부분만 실비청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F04~F09 : 뇌손상, 뇌기능 이상에 의한 인격 및 행동장애 등
F20~F29 : 정신분열병, 분열형 및 망상성 장애
F30~F39 : 기분장애
F40~F48 : 신경성, 스트레스성 신체형 장애
F90~F98 : 소아 및 청소년기의 행동 및 정서장애
에 해당될 경우 실비청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진단서 - 처방전 - 진료비 세부내역서에 기재되어있으니 확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보통 초진 시 4~6만원, 그 이후 1주일마다 9000 ~ 30000원 정도 드는데요,
상담 비용은 회당 5~10만원이고 꽤나 악명에 비해서는 싼 편입니다.
병원마다 진료비가 다르므로 전화로 먼저 물어보는 것 또한 좋습니다.
그러니 안심하시고 진료 보시기를 바랍니다.
5분 ~ 15분 이내의 짧은 상담 후, 약물을 처방하는 식입니다.
* 자신의 증상을 미리 글로 적어가면 진료가 효율적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상황, 증상, 두려움 등을 정리해보세요.
치료 방식은 의사마다 상이하고,
처방 방식 또한 그렇습니다.
약만 처방하는 의사도 있고, 간단한 상담을 동시에 처방하며
약을 처방해주는 의사가 있습니다.
그러니 꼭 후기나 정보를 찾고 / 미리 전화를 해 본 뒤,
가는 게 제일 좋습니다.
초진 비용이 보통은 비싸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상담사/의사가 맞지 않으면 바꾸는 게 좋습니다.
의료 서비스를 받는 거니까요.
*초진에 바로 진료가 가능한 곳을 찾아, 애먼 심리검사로 초진비용을 아낄 수도 있으니,
이 점을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초진은 예약을 받는 병원들이 있으므로,
미리 연락은 필수입니다.
대학 병원은 직접 가봐야 알겠지만,
사람이 많다면 약 처방만 하고 진료 시간이 짧을 수도 있으니
고려해보고 직접 한 번 다녀와본 뒤 결정해도 좋습니다.
내글구려병, 작가의 뇌에 달라붙은 부정적 편향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4.09.07 |
---|---|
학교 총격 사건의 범인은 무슨 생각일까? (4) | 2024.09.06 |
무료로 심리상담을 할 수 있는 곳을 찾아보자 (0) | 2024.06.29 |
심리상담 사이트 겉핥기 (숨고 - 카운슬러코리아 - 한국심리상담센터 - 서울심리상담센터) (0) | 2024.06.23 |
심리상담 서울 라운지 겉핥기 분석해보기 (0) | 2024.06.22 |